본문 바로가기

study & search/문헌정보학

도서관 장서관리 - 이용자 연구

반응형

이용자 연구의 의의

효과적인 장서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는 도서관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의 장서관리 담당사서가 지역사회 구성원의 공통적 관심사, 교육정도, 정보추구 행태, 커뮤니케이션 습관, 가치관, 기타 특성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면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도서관 장서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 장서관리를 위해 도서관 실제 이용자와 잠재적 이용자에 관한 데이터의 수집이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어떤 장서도 이용자 개개인이나 어느 특정 계층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다시 말하면, 도서관 이용자들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정보요구조사를 통해 사실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여기에 근거해 확고한 기반 안에서 수립된 장서관리 계획에 따라 장서를 구성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도서관의 실제 이용자와 잠재적 이용자 연구와 관련해 흔히 쓰이는 용어들은 '지역사회분석(community analysis)', '지역사회연구(community studies)', '정보요구분석(information needs analysis)', '요구분석(needs analysis)', '요구조사(needs assessment)', '역할분석(role analysis)', '이용자연구(user studies)', 그리고 '시장분석(market analysis)' 등 매우 다양합니다. 대체로 이들 용어의 의미는 유사하나 적용의 구체적인 측면이나 목적에 있어서는 크게 다릅니다.

 

'지역사회분석(연구)은 일반적으로 공공도서관이 봉사해야 할 지역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하며, '계획수립과정(planning process)'이라는 용어가 보다 더 정확히 이 활동의 목적을 나타냅니다. '요구분석'이나 '요구조사'는 전문 도서관과 정보센터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개인 혹은 그룹의 이용자가 주로 연구대상이 됩니다. '이용자 연구'는 정보를 찾는 사람들이 왜, 어떻게, 언제, 어디서 정보추구활동을 하는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사회분석의 한 측면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시장분석'은 특정서비스나 혹은 상품에 대한 이용자나 지역사회의 반응이나 흥미에 관한 연구를 말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도서관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와 봉사의 대상이 되는 이용자에 관한 연구라는 의미로서 지역사회연구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물론 여기에서 말하는 '지역'이란 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그 뜻하는 바가 다릅니다. 공공도서관 환경에서의 지역이란 그 도서관이 봉사해야 할 행정 구역을 의미하는 것이고, 대학도서관에서는 그 도서관이 봉사하는 모기관이 되는 것이며, 전문도서관에서는 그 도서관을 설립한 회사, 기업체, 기관, 혹은 재단 등을 의미합니다.

 

 

출처: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