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은 오늘날 도서관의 업무 및 서비스를 근본에서부터 다시 생각하게 하는 결정적인 변화요소입니다. 도서관 활동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장서관리 분야에서는 장서의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그 영향은 결코 절대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보기술이 장서에 미치는 가장 직접적이고도 혁신적인 변화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의 변화입니다. 정보매체는 장서를 구성하는 정보단위를 수록하는 용기이며, 전달의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보매체의 변화는 도서관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전자출판의 증가와 더 근본적으로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권은경, 1998).
정보매체의 변화는 '소유에서 접근으로' '물리적 도서관에서 논리적 도서관 무용론'까지 예고하고 있습니다. 정보매체의 변화가 도서관 장서관리에 미칠 영향은 정보매체의 다양화와 장서관리의 다원화로 특징 지을 수 있을 것입니다.
도서관 장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마이크로 형태자료, 녹음자료, 지도, 입체자료, 화상 및 영상자료 등을 포함해 다양해졌고 또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전자 정보가 포함되고 전자정보는 다시 cd-rom 데이터베이스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웹자원으로 나뉘어져 형태면에서 더욱 다양해졌으며, 전자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정보는 계약에 의해서 이용권을 보장받는 것으로, 소유를 전제로 한 기존의 도서관 장서 개념에서는 장서라고 하기에 불합리한 면도 있습니다. 그러나 도서관을 통하여 이용하는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소장이든 접근이든 도서관의 장서로 인식할 것입니다. 사서의 입장에서도 자관 소유는 아니라 하더라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한 정보원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관리하여야 한다는 의미에서 장서로 인식해야 할 것 입니다.
출처: 디지털 시대의 장서관리
'study & search > 문헌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 장서관리 - 이용자 연구 방법 (1) | 2022.01.11 |
---|---|
도서관 장서관리 - 이용자 연구 (0) | 2022.01.10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관리와 도서관 환경 (0) | 2022.01.09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관리과정 (0) | 2022.01.07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의 의미, 도서관의 기원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