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관리의 여러 영역 중에서 특히 이용자 연구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분야는 장서개발정책, 자료선택, 장서평가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에 관한 데이터는 어떤 특정자료의 선택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택에 앞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 작용하며, 장서평가분야에서는 장서가 과연 이용자의 요구를 얼마만큼 충족시켜 주었는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장서관리 이외에도 이용자에 관한 연구데이터는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계획과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 많습니다다. 이 중 몇 가지 활용부문을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도서관의 서비스 혁신, 이용자 전용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온라인 DB 검색서비스 실시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하면 이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예측하여 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역사회 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이러한 예측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둘째, 도서관이 분관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지역사회연구 데이터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전자정보의 제공능력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분관 설립여부와 위치에 관한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연구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분관의 설립으로 인한 시설이나 건물의 장기대여, 이동도서관 서비스, 전자정보제공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와 경비 등에 관하여 유용한 결정을 내릴 수가 있습니다.
셋째, 도서관의 구조변경, 새로운 시설물의 설치, 특히 노년층과 장애인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자 하면 일반적으로 경비가 많이 들어서, 요구되는 시설의 종류와 수량 등을 정확히 산출해 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역사회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에 대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넷째, 지역사회 연구데이터를 이용해 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 봉사에 대한 반응과 태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직원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즉 직원의 주제 전문성, 언어능력, 특정이용 집단에 대한 서비스, 전자매체 및 색인, 초록분야에서의 전문적 기술 등에서 변화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연구데이터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 직원의 재구성, 재배치, 증원 등의 직원조정에 관한 결정의 근거자료가 됩니다.
여섯째, 예산배정기관에 새로운 과제에 대한 승인요청이나 예산의 증액을 요구할 때 지역사회 연구데이터에 근거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예산배정기관으로부터 설득력 있는 요구라는 호의적인 반응을 얻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study & search > 문헌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0) | 2022.01.14 |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 (0) | 2022.01.13 |
도서관 장서관리 - 이용자 연구 방법 (1) | 2022.01.11 |
도서관 장서관리 - 이용자 연구 (0) | 2022.01.10 |
도서관 장서관리 - 정보기술과 장서관리 변화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