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정보가 수집되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해야 합니다.
1. 지역사회 현황에 관한 정보
도서관이 서비스하는 실제, 잠재적 이용자를 파악한다. 모기관에 이러한 정보가 이미 수집되어 있으면 도서관은 해당 부서로부터 정보를 입수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선 도서관이 직접 수집해야 한다.
2. 장서현황에 관한 정보
도서관이 지원해야 할 프로그램의 성격(예. 연구, 교육, 참고, 일반교양, 오락)은 어떤 근거에 의한 것인가? 현재 장서중 수집이 잘된 분야와 보강할 분야를 조사해 기존장서의 성격을 파악하고 원인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의 장서개발 담당 사서와의 면담이나 과거의 장서개발 업무과정을 추적해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 현재와 미래의 수집 방침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장서수준에 대한 규정
재정적 한계, 장서에 대한 제한(주제, 심도, 자료의 형태, 수준 등), 공간의 부족, 자원협력의 참여정도 등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어야 한다.
4. 타 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참고
장서개발정책 작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타 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을 수집해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포함하여야 할 요소들이 확정되면 실제 기술작업에 착수한다. 문안의 작성은 사서가 하며 문안이 완성되면 도서관 위원회에 제출해 심사와 승인을 받고 도서관의 공식적인 장서개발정책이 된다.
장서개발정책의 승인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장은 사서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정책의 초안을 작성해 관장에게 제출하도록 한다. 관장은 초안을 검토해 의견을 제시하고 전 직원들의 평가와 의견을 수렴한다. 관장은 직원의 의견과 제안사항을 반영해 중간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총회에서 토의한다. 토의된 사항을 중심으로 중간보고서를 수정하여 도서관 위원회에 제출한다. 제출 후 지역사회의 피드백을 얻기 위해 공청회를 개최한다. 공청회에는 장서개발정책을 작성한 사서, 관장, 위원회 대표 등이 참석하여 이용자에게 정책을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정책의 내용을 방어하고 수정한다. 위원회가 최종안을 승인하면 도서관 직원과 이용자를 위해 완전한 장서개발정책을, 홍보용으로 요약판 장서개발정책을 준비한다.
출처: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
'study & search > 문헌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 자료예산분배 (0) | 2022.01.27 |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기준 (0) | 2022.01.26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정책이란? (0) | 2022.01.24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0) | 2022.01.14 |
도서관 장서관리 - 장서개발 (0) | 2022.01.13 |